-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들어보자] 1. Spring Boot 초기설정하고 서버 켜기 (Spring Boot + React + PostgreSQL)project 2024. 6. 24. 01:33728x90반응형
안녕하세요 나홀로전세집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나만의 웹사이트 만들기 프로젝트를 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Spring Boot 초기 설정을 하고, 서버를 켜보겠습니다.
Spring Boot란?
Spring Boot는 자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주는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Spring Boot를 활용해 REST API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 Spring Boot 를 사용하려면 jdk가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하기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방법 중 하나로 웹사이트에서 세팅하는 방법으로 해보겠습니다.
Spring Initializr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각각의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Project : Maven과 Gradle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Maven은 XML 기반의 빌드 도구이고, Gradle은 DSL 기반의 빌드 도구입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Gradle을 사용하겠습니다.
Language : 자바, 코틀린, 그루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자바를 사용하겠습니다.Spring Boot : 사용할 스프링 부트의 버전을 선택합니다. SNAPSHOT은 아직 정식 릴리스되지 않은 개발 중인 버전입니다. 안정성이 낮아 보통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3.3.1 버전을 사용하겠습니다. Spring Boot 3.x 버전부터는 jdk 17이상부터 사용할 수 있습니다.
Group : 프로젝트의 그룹 아이디를 설정합니다. 주로 도메인 역순으로 입력합니다.
Artifact : 프로젝트의 아티팩트 아이디를 설정합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이름이 됩니다.
Name : 프로젝트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 Artifact와 동일하게 설정됩니다.
Description : 프로젝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Package name : 패키지 이름을 설정합니다. 기본적으로 Group과 Artifact를 조합하여 설정됩니다.
Packaging : Jar와 War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Spring Boot에서는 배포와 실행이 간편하고, 설정이 최소화되어 빠른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Jar를 주로 사용합니다.
Java : 사용할 자바의 버전을 선택합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17버전을 사용할 것 입니다.Dependencies :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존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의존성을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렇게 초기설정을 하였습니다.
추가한 Dependencies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Spring Web: Spring MVC, Apache Tomcat 등 웹 프로젝트를 위해 필수
- Spring Boot Dev Tools: 저장 시 서버를 재시작 해주는 라이브러리
설정이 완료되면 아래의 GENERATE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를 다운로드합니다.
Spring Boot 서버 켜보기
압축을 풀고 프로젝트를 열면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 구조가 보입니다.
여기서 src/main/java/com/nahollo/nahollo/Project/NaholloProjectApplication.java 를 실행하여 서버를 켤 수 있게 됩니다.
서버가 켜지면 터미널에 Spring 아이콘과 함께 서버와 관련된 콘솔 로그가 표시됩니다. 여기서 서버 상태와 로그를 확인하며 개발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React 초기 설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오늘도 즐코딩 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728x90반응형'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