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ring Boot] 7. Entity, DAO, Repository, DTO (스프링 부트를 배워보자.)Spring Boot 2023. 9. 19. 13:37728x90반응형
안녕하세요 나홀로전세집입니다.
오늘은 Entity, DAO, Repository, DTO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Entity (Domain)
- 데이터베이스에 쓰일 컬럼과 여러 엔티티 간의 연관 관계를 정의합니다
-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하나의 엔티티로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1:1로 매핑됩니다.
DAO(Data Access Object)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객체를 의미합니다.
- Service가 DB에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DB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는 기능을 전담합니다.
Repository
- Entity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메서드를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입니다.
- Service와 DB를 연결하는 고리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CRUD를 정의하는 영역입니다.
DTO (Data Transfer Object)
- DTO는 VO(Value Object) 로 불리기도 하며,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객체를 의미합니다.
- VO의 경우 Read Only의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Entity, DAO, Repository, DTO 관계도
오늘은 Entity, DAO, Repository, DTO를 배워봤습니다.
앞으로 쉬지 않고 열심히 공부해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늘도 즐코딩 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728x90반응형'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8. HTTP 상태 코드 (스프링 부트를 배워보자.) (49) 2023.09.20 [Spring Boot] 6. Lombok (스프링 부트를 배워보자.) (2) 2023.09.18 [Spring Boot] 5. Post, Put, Delete API (스프링 부트를 배워보자.) (3) 2023.09.18 [Spring Boot] 4. Get API (스프링 부트를 배워보자.) (2) 2023.09.16 [Spring Boot] 3. MVC 패턴 (스프링 부트를 배워보자.) (0) 2023.09.16